2022. 1. 26. 16:23ㆍ스터디/Coding
오랜만에 쓰는 블로그 글
2022.1월 웹디자인 스터디 중이다.
반응형 적응형이 아닌 아직 초기단계이므로 데스크탑(PC)전용으로 제작하고 있다.
웹디자인은 위처럼 많은 페이지를 만들지 않고 마무리하였고, 이제 코딩을 하는데 처음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PC는 당연히 1920*1080일거라는 생각으로 웹페이지 크기를 1920*1080으로 만들었는데 코딩을 하면서 웹브라우저의 크기를 재보니 내 기기에서는 넘쳐흐르는 크기였다. 왜지??
pc는 다 1920..아닌가?
그래서 rectangle을 만들어서 width를 조정해가며 크기를 맞춰보았다.
웬걸. 1440정도였다. 브라우저가 크롬이어서 위의 헤더나, 우측의 스크롤 범위를 고려하더라도 1920*1080은 절대 될 수없었다. 왠지 피그마에 데스크탑 사이즈가 1440이더니, 이때문이었다.
왜그런가 했더니?
이는 뷰포트의 크기문제였다.
기기는 전부 가지고 있는 뷰포트가 디바이스에 따라 다르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노트북의 크기는 1440px정도였던 것이다.
그러니 1920사이즈를 넣으면 화면보다 넘치므로 하단의 스크롤이 생기는 것.
만약 내가 내 뷰포트에 딱 맞추어 제작한다 하더라도 기기마다 접속을 하면 또 뷰포트의 크기가 다른 것들이 있을 것 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야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구글링 중 이 분의 티스토리에서 발견했다.
https://offbyone.tistory.com/110
반응형 웹 - 뷰포트(viewport) 사용법
반응형 웹 (responsive web)이란 하나의 웹사이트로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만든 웹 페이지를 말합니다. 미디어
offbyone.tistory.com
'스터디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WEB2 - JavaScript 01 ~ 05 (0) | 2021.10.05 |
---|---|
개자이너 되기 프로젝트... (0) | 2021.08.04 |
웹/앱 디자인의 단위 개념 총정리 (0) | 2021.07.18 |
기본 HTML 문서 형식의 완성 (0) | 2021.07.13 |
생활코딩 WEB2 - CSS 01 ~ 10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