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Coding(8)
-
기기에 따라 뷰포트가 다른 걸 어떻게 해야할까?
오랜만에 쓰는 블로그 글 2022.1월 웹디자인 스터디 중이다. 반응형 적응형이 아닌 아직 초기단계이므로 데스크탑(PC)전용으로 제작하고 있다. 웹디자인은 위처럼 많은 페이지를 만들지 않고 마무리하였고, 이제 코딩을 하는데 처음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PC는 당연히 1920*1080일거라는 생각으로 웹페이지 크기를 1920*1080으로 만들었는데 코딩을 하면서 웹브라우저의 크기를 재보니 내 기기에서는 넘쳐흐르는 크기였다. 왜지?? pc는 다 1920..아닌가? 그래서 rectangle을 만들어서 width를 조정해가며 크기를 맞춰보았다. 웬걸. 1440정도였다. 브라우저가 크롬이어서 위의 헤더나, 우측의 스크롤 범위를 고려하더라도 1920*1080은 절대 될 수없었다. 왠지 피그마에 데스크탑 사이즈가 14..
2022.01.26 -
생활코딩 WEB2 - JavaScript 01 ~ 05
Html과 css로는 정적인 문서밖에 할 수 없다. 그냥 정보만 올리기에는 이걸로 충분하지만 웹페이지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언어가 필요하다. 바로 javascript. === 1===2 비교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이 있다. 좌항과 우항을 합하여 어떠한 값을 낸다. 비교연산자 "="은 좌항과 우항의 관계에 따라 T/F의 값을 내는데 이 값이 불리언(boolean)이다. 1. 문자열 Str 2. 숫자 Number 3. 불리언 Boolean 17. 조건문의 활용 night와 day의 버튼을 하나로 하고 화면이 day상태일때 night상태의 버튼을 누르면 night상태의 화면과 day버튼으로 전환되는 토글 버튼을 만들자.
2021.10.05 -
개자이너 되기 프로젝트...
디자이너도 코딩 공부해야할까? 디자인과로 들어온지 2년되던 해.. 커리큘럼이 거즘 디자인학부였던 학교에서 난 여태 전공을 확정하지 못했다. 4가지 트랙 중 시각도 해보고, 영상, 3D, 공간까지 겪어본 결과. (제품 제외) 공간은 해볼 엄두가 나지 않았고, 시각도 좋지만 영상, 3D부문이 재밌어보였으므로 영상을 공부했었다. 그러나 고된 영상제작과정 + 기술적인 한계 + 전공을 잘 살릴 수 있을까의 대한 고민 + 3D와 영상특화가 되어있지 않은 커리큘럼으로 점점 흥미가 떨어져갔다. 다른 학교로 넘어갈만큼의 재미도 못 느꼈고. 나중에 영상을 하고싶은 마음이 팍 식으면서 다음으로 관심있던 웹을 전공하고 싶었다. 그래서 2학년에 "서비스디자인공학"에 복수전공을 신청하고 3학년에 들면서 브랜딩과 uxui를 경험했..
2021.08.04 -
웹/앱 디자인의 단위 개념 총정리
어도비XD에서 디자인을 하고 코딩으로 구현할 때 항상 애매한 구간을 마주하게 된다.. 그건 바로 폰트 사이즈는 pt인가 dp인가 px인가...... 화면은 안드로이드를 기준으로 할 땐 dp를 사용하는데 아이콘도 dp니까 폰트도 dp인가...???? 그럼 코딩으로 옮길 땐 어떻게 해야하지?? 그래서 dp sp pt px 등등의 개념을 공부해보자 아래 내용은 youtube Ami Design Tv의 내용임. https://youtu.be/TqJm2TM9JnA 운영체제 디자인 단위 정리 DP, SP는 안드로이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위, PT 는 IOS에서 사용하는 단위이다. 1. DP (Device-independent Pixel) 디바이스 크기에 의존하지 않은 픽셀 단위 디바이스가 아무리 달라도 보이는 크기..
2021.07.18 -
기본 HTML 문서 형식의 완성
모바일 웹 화면 구성 요소 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기본적인 포맷형식을 가지고 있음. 2. CSS (Cascading Style Sheet) - HTML에 스타일을 지정 (디자인) 3. JavaScript - 동적인 구현을 담당. - 자바의 문법이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JQuery Plugins을 이용함. HTML 기본 골격 //html5 버전임을 표시 //기본 골조 //본문형식
2021.07.13 -
생활코딩 WEB2 - CSS 01 ~ 10
html의 태그에 css를 넣어보자 생활코딩 짱짱 여기서 글자색을 바꾼다면? 생활코딩 짱짱 head에 css 언어를 삽입해보자. 그런데 문단이 1억개가 있다면 어떡할까? 그럼 1억개의 속성을 다 적어줘야 할까? 아니다. CSS의 중요한 2가지. 효과; 와 선택자{ } css selector 선택자 예를 들어 를 기본적으로 전부 black; 으로 만들어두고 이미 클릭한 것은 gray. 현재 보는 창은 red로 설정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일단 는 black이니까 a { color: black; } ....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그럼 grey와 red를 어떻게 설정할까? .class 와 #id 먼저 grey부터, class라는 속성이 등장한다! a { color: black; } .select { color:..
2021.07.13